상대방 모르게 트위터 뮤트하는 2가지 초간단 방법 (초보자도 가능!)
목차
- 트위터 뮤트 기능이란? 왜 사용해야 할까?
- 트위터 뮤트 기능 사용 시 상대방은 알 수 있을까?
- 방법 1: 트윗에서 직접 뮤트하기
- 방법 2: 프로필에서 뮤트하기
- 뮤트한 계정 관리 및 해제 방법
트위터 뮤트 기능이란? 왜 사용해야 할까?
트위터를 하다 보면 다양한 계정들을 팔로우하게 됩니다. 그런데 가끔은 특정 계정의 트윗이 내 타임라인을 너무 많이 차지하거나, 원치 않는 내용의 트윗이 계속 올라와 피곤할 때가 있죠. 그렇다고 언팔로우를 하자니 상대방에게 괜히 미안하거나 불편한 관계가 될까 봐 망설여질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뮤트(Mute)입니다. 뮤트는 ‘음소거’라는 뜻처럼, 특정 계정의 트윗을 내 타임라인에서만 보이지 않게 하는 기능입니다. 팔로우 관계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대방은 내가 자신을 뮤트했다는 사실을 전혀 알 수 없습니다. 이 기능은 단순히 특정 계정의 트윗을 보지 않으려는 목적 외에도,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불필요한 정보의 홍수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 매우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정치적 의견이나 스포일러, 지나치게 잦은 일상 트윗 등으로 인해 타임라인이 불편해졌을 때, 상대방과의 관계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나만의 쾌적한 트위터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트위터 뮤트 기능 사용 시 상대방은 알 수 있을까?
이 부분이 바로 뮤트 기능의 핵심이자 가장 큰 장점입니다. 정답은 ‘전혀 알 수 없다’입니다. 트위터 뮤트 기능은 상대방에게 어떤 알림도 보내지 않으며, 상대방의 프로필에서도 내가 그를 뮤트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뮤트 기능은 오로지 나 자신만을 위해 작동하는 개인적인 설정이기 때문입니다.
상대방은 내가 계속 자신을 팔로우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평소처럼 트윗을 올리고 리트윗합니다. 나는 상대방의 트윗을 볼 수 없지만, 여전히 상대방은 내 트윗을 볼 수 있고, 멘션이나 DM(다이렉트 메시지)도 정상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뮤트 기능은 상대방의 트윗을 내 타임라인에서만 숨기는 것일 뿐, 팔로우 관계 자체나 다른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상대방이 눈치챌 염려가 전혀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언팔로우 대신 뮤트를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합니다.
방법 1: 트윗에서 직접 뮤트하기
가장 쉽고 빠르게 뮤트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특정 계정의 트윗을 보고 있다가 ‘이 계정의 트윗을 이제 그만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뮤트하고 싶은 계정의 트윗을 찾습니다. 타임라인에 나타난 트윗이든, 검색을 통해 찾은 트윗이든 상관없습니다.
- 해당 트윗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점 세 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팝업 메뉴가 나타나면 여러 옵션 중 ‘계정(@계정명) 뮤트하기’를 선택합니다.
- ‘뮤트하시겠어요?’라는 확인창이 뜨면 ‘뮤트’ 버튼을 누릅니다.
이렇게 하면 해당 계정의 모든 트윗이 더 이상 내 타임라인에 표시되지 않게 됩니다. 트윗 한두 개를 보고 ‘아, 이 계정은 뮤트해야겠다’ 싶을 때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방법입니다. 특히,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스포일러나 원치 않는 이슈에 대한 트윗이 계속될 때 매우 유용합니다. 트윗을 보는 그 순간 바로 뮤트 버튼을 눌러 스트레스 요인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방법 2: 프로필에서 뮤트하기
특정 계정의 프로필 페이지에 방문해서 뮤트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트윗을 일일이 찾지 않아도 되므로, 이미 뮤트하고 싶은 계정이 명확할 때 더 효율적입니다.
- 뮤트하고 싶은 계정의 프로필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트윗에 있는 계정명을 클릭하거나, 검색창에 계정명을 입력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
- 프로필 페이지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점 세 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드롭다운 메뉴가 나타나면 ‘계정(@계정명) 뮤트하기’ 옵션을 선택합니다.
- ‘뮤트하시겠어요?’라는 확인창이 뜨면 ‘뮤트’ 버튼을 누릅니다.
이 방법 역시 매우 간단하며, 상대방의 프로필 페이지에만 접속하면 되기 때문에 여러 계정을 미리 생각하고 한 번에 처리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팔로우 목록을 정리하다가 특정 계정들을 뮤트하고 싶을 때, 일일이 트윗을 찾을 필요 없이 프로필에 들어가서 바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과정이 매우 직관적이고 간단하므로 트위터 초보자도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
뮤트한 계정 관리 및 해제 방법
뮤트 기능은 언제든지 해제할 수 있습니다. 실수로 뮤트했거나, 시간이 지나서 다시 해당 계정의 트윗을 보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뮤트 해제 방법도 뮤트 설정만큼이나 간단합니다.
- 트위터 설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모바일 앱의 경우 왼쪽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하고, PC 웹에서는 왼쪽 메뉴에서 ‘더 보기’를 선택합니다.
- ‘설정 및 개인정보’를 클릭합니다.
- ‘개인정보 및 보안’ 탭을 선택합니다.
- ‘뮤트 및 차단’ 섹션에서 ‘뮤트한 계정’을 클릭합니다.
- 뮤트한 계정 목록이 나타납니다. 이 목록에서 해제하고 싶은 계정을 찾습니다.
- 해당 계정 옆에 있는 ‘뮤트됨’ 버튼을 클릭하면 ‘뮤트 해제’로 바뀝니다.
이렇게 하면 해당 계정은 다시 내 타임라인에 정상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만약 특정 계정을 뮤트 해제하고 싶다면, 해당 계정의 프로필로 직접 이동하여 오른쪽 상단 점 세 개(…) 아이콘을 누른 뒤 ‘뮤트 해제’를 선택해도 됩니다. 이 방법 역시 매우 간단하여, 뮤트 설정과 마찬가지로 상황에 따라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뮤트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걸러내고, 나만의 쾌적한 트위터 환경을 만들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