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초 만에 끝내는 아이패드 구글 팝업 차단 해제, 매우 쉬운 방법!
목차
- 팝업 차단, 왜 해제해야 할까?
- 구글 크롬 브라우저 팝업 차단 해제 방법
- 아이패드 크롬 앱 설정에서 해제하기
- 특정 사이트에서만 팝업 허용하기
- 아이패드 사파리 브라우저 팝업 차단 해제 방법
- 사파리 앱 설정에서 전체 팝업 허용하기
- 특정 사이트에서만 팝업 허용하기
- 팝업 차단 해제 시 주의사항
- 마무리: 편리함과 안전 사이의 균형
팝업 차단, 왜 해제해야 할까?
인터넷 서핑을 하다 보면 원치 않는 팝업 광고가 갑자기 나타나 불편함을 겪은 경험이 누구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팝업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팝업, 예를 들어 은행 웹사이트에서 보안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팝업, 대학 수강 신청 페이지의 로그인 팝업, 혹은 온라인 쇼핑몰의 결제 창 등이 이 차단 기능 때문에 뜨지 않아 당황스러운 상황에 놓이기도 합니다.
이럴 때 팝업 차단을 해제하는 방법을 모르면 중요한 업무를 진행하지 못하거나 웹사이트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답답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아이패드는 그 편리함 때문에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기기이지만, PC와는 다른 모바일 환경이라 팝업 차단 해제 방법을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아이패드에서 구글 크롬과 사파리 두 가지 브라우저의 팝업 차단을 손쉽게 해제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매우 간단하니, 딱 10초만 투자해서 이 문제를 해결해 보세요.
구글 크롬 브라우저 팝업 차단 해제 방법
아이패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라우저 중 하나인 구글 크롬의 팝업 차단 해제 방법입니다. PC와는 다르게 아이패드 크롬 앱 내에서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아이패드 크롬 앱 설정에서 해제하기
- 먼저 아이패드에서 크롬(Chrome) 앱을 실행합니다.
- 화면 오른쪽 하단에 있는 점 세 개(⋮) 모양의 메뉴 버튼을 탭합니다.
- 하단에 팝업 되는 메뉴들 중에서 ‘설정’을 선택합니다.
- 설정 메뉴가 나오면 아래로 스크롤하여 ‘콘텐츠 설정’을 찾아서 탭합니다.
- 콘텐츠 설정 화면에서 ‘팝업’ 항목을 찾아 탭합니다.
- ‘팝업 차단’이라고 되어 있는 항목이 보일 텐데, 이 스위치를 ‘비활성화’ (회색으로 바꾸기) 하면 모든 웹사이트의 팝업이 허용됩니다.
이 방법은 모든 웹사이트의 팝업을 허용하기 때문에, 팝업이 자주 뜨는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원치 않는 광고가 많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업무를 마치고 나면 다시 ‘활성화’ 상태로 되돌려 놓는 것을 권장합니다.
특정 사이트에서만 팝업 허용하기
모든 사이트의 팝업을 허용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특정 사이트에서만 팝업을 허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필요한 경우에만 팝업을 허용하여 보안과 편의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 팝업을 허용하고 싶은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주소창 옆의 자물쇠 아이콘(🔒)이나 정보 아이콘(ⓘ)을 탭합니다.
- 팝업 되는 메뉴에서 ‘사이트 설정’ 또는 ‘사이트 정보’를 탭합니다.
- 사이트 설정 화면에서 ‘팝업 및 리디렉션’ 항목을 찾아 탭합니다.
- 기본적으로 ‘차단’으로 설정되어 있을 텐데, 이를 ‘허용’으로 변경하면 해당 사이트에서만 팝업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방법은 필요한 사이트에 대해서만 팝업을 허용하므로, 보안적인 측면에서 훨씬 안전합니다. 수강 신청 사이트, 은행 사이트 등 자주 사용하는 특정 사이트의 팝업만 허용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패드 사파리 브라우저 팝업 차단 해제 방법
아이패드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브라우저인 사파리도 팝업 차단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파리의 경우, 크롬과는 달리 아이패드 설정 앱에서 직접 변경해야 합니다.
사파리 앱 설정에서 전체 팝업 허용하기
- 아이패드의 홈 화면에서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아래로 스크롤하여 ‘Safari’ 항목을 찾아 탭합니다.
- 오른쪽에 나오는 사파리 설정 메뉴에서 ‘일반’ 섹션을 찾습니다.
- ‘팝업 차단’이라고 되어 있는 스위치가 보일 텐데, 이 스위치를 ‘비활성화’ (회색으로 바꾸기) 하면 사파리에서 방문하는 모든 웹사이트의 팝업이 허용됩니다.
사파리의 경우 크롬과 달리, 특정 사이트에서만 팝업을 허용하는 별도의 설정이 앱 내에서 제공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모든 팝업을 허용할지, 아니면 모두 차단할지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파리 사용 시에는 팝업이 필요한 경우에만 이 설정을 잠시 해제했다가, 사용을 마친 후 다시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팝업 차단 해제 시 주의사항
팝업 차단을 해제하는 것은 웹사이트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팝업 차단 해제는 보안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팝업은 때로 악성 광고,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 혹은 바이러스를 유포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팝업 차단을 해제할 때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만 팝업 허용: 잘 모르는 사이트나 의심스러운 사이트에서는 팝업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팝업창 주소 확인: 팝업창이 떴을 때, 주소창의 URL이 내가 방문한 웹사이트의 주소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팝업 차단 기능은 다시 활성화: 중요한 작업을 마치고 나면 팝업 차단 기능을 다시 활성화하여 불필요한 광고 노출 및 보안 위험을 줄이는 것이 현명합니다.
마무리: 편리함과 안전 사이의 균형
아이패드에서 팝업 차단 기능을 해제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몇 가지 단계를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편리함’과 ‘안전’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입니다.
필요할 때만 팝업 차단을 잠시 해제하고, 작업을 마친 후에는 다시 원래대로 되돌려 놓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이 글이 아이패드 사용 중 겪는 팝업 관련 불편함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간단한 설정 변경만으로 훨씬 더 쾌적하고 안전한 웹 서핑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